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글

(16)
한글 문서 특정 부분만 선택해 저장하기 안녕하세요. 한글 문서에서 특정 부분만 선택해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은 문서의 특정 부분만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요. 문서의 전체가 필요하지 않고 일부분만 필요한 경우 블록 저장을 이용해서 선택한 영역만 간편하게 저장할 수 있습니다. 문서의 첫 페이지만 저장해 보겠습니다. 블록 저장을 하는 방법은 저장할 부분을 드래그해 블록으로 지정해 준 후, 저장 우측의 더 보기 버튼을 클릭해 블록 저장을 선택해줍니다. 블록 저장으로 저장하는 경우 문서의 이름이 기본으로 지정되지 않으므로 이름을 직접 입력해줘야 합니다. 한글 문서의 위치와 이름을 설정해준 후 저장을 눌러줍니다. 저장한 문서를 열어보면 블록으로 지정해준 영역만 저장이 됩니다.
한글에서 날짜, 시간 자동으로 변경하기 안녕하세요. 한글에서 날짜와 시간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문서의 날짜나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맞춰야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한글에서 현재 시간과 오늘 날짜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2가지 제공되는데요. 한 가지는 문자열로 입력, 다른 한 가지는 코드로 입력하는 방법입니다. 날짜를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코드로 날짜를 입력해주면 됩니다. 코드로 날짜를 넣는 방법은 [입력 - 날짜/시간/파일이름 - 날짜/시간 코드]를 선택하거나, 단축키 Ctrl + K,C를 사용하면 날짜가 코드로 입력됩니다. 코드로 입력된 날짜의 경우 문자열로 입력한 날짜와 다르게 양 끝에 조판 부호가 생성됩니다. 문서가 열려 있을 때에는 날짜나 시간이 변경되지 않지만, 문서를 닫고 다시 열면 시간이..
한글에서 세로 쓰기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에서 세로 쓰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대부분의 문서 작성을 할 때 가로로 문서를 작성하지만 세로로 작성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한글에서 세로 쓰기를 하려면 쪽 - 글자 방향에서 세로 쓰기를 선택해줍니다. 세로 쓰기에는 영문 눕힘과 영문 세움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두 가지 방식의 차이는 영문 눕힘의 경우 숫자, 영어가 회전되어 출력되고 영문 세움의 경우 회전없이 세로 방향으로 글자가 출력됩니다. 세로 쓰기에서 영문 세움을 선택해 출력되는 글자입니다. 글자가 회전되지 않고 세로로 출력됩니다. 세로 쓰기에서 영문 눕힘을 선택해 출력되는 글자입니다. 영어와 숫자가 회전되어 출력됩니다. 위의 방식처럼 세로 쓰기를 하면 문서 전체에 세로 쓰기가 적용되는데요. 한글 문서에서 일부..
한글 문서 PDF 파일로 저장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 문서를 PDF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문서를 수정하면 안되거나, 다른 환경에서 문서를 열 경우 해당 환경에 적용되어 있는 폰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작업한 문서의 구조가 달라질 수 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한글 문서를 PDF파일로 저장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한글 문서를 PDF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요. 첫 번째 방법은 인쇄에서 PDF 드라이버로 저장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에서 PDF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첫 번째 방법인 PDF 드라이버로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단축키 Ctrl + P 또는 Alt + P 단축키를 사용해 인쇄에 들어간 후, Hancom PDF와 같은 PDF를 선택하고 인쇄를 눌러주면..
한글에서 취소선 넣기, 단축키로 취소선 넣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에서 취소선을 넣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한글에서 취소선은 서식에서 넣거나 도구 상자에서 넣을 수 있는데요. 취소선을 누르면 취소선이 적용됩니다. 취소선은 간단하게 넣을 수 있지만, 취소선을 넣을 때마다 일일이 넣어주는 게 귀찮은데요. 단축키를 사용해 간단하게 취소선을 넣을 수 있습니다. Alt를 누르고 T를 눌러 취소선을 단축키로 선택해주세요. Alt와 T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 문단 모양 단축키가 사용되니 주의 해주세요. Alt를 눌렀다 뗀 후, T를 눌러줘야 취소선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취소선이 선택되었으면 방향키를 이용해 원하는 형식을 선택해줍니다. 원하는 형식을 선택했으면 엔터를 눌러 취소선을 적용해줍니다. 취소선이 적용됩니다. 취소선 단축키 Alt를 눌렀다 뗀 후 T ..
한글에서 글자 관련 단축키 모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에서 글자에 관련된 단축키를 알아보겠습니다. Ctrl + F를 사용해서 찾는 기능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 1. 한글 글자 크기 조절 글자 크기 크게 Ctrl + ], Alt + Shift + E 글자 크기 작게 Ctrl + [, Alt + Shift + R 한글 글자 크기 조절 단축키 자세히 보기 https://webdevv.tistory.com/15 한글에서 단축키로 글자 크기 조절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에서 단축키를 사용해 글자 크기를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마우스를 이용해서 글자 크기를 변경하는 것보다 단축키를 사용해 글자 크기를 조절하면 더 편하 webdevv.tistory.com 2. 한글 글자색 변경 검정색 Ctrl + M,K 빨간색 Ctrl + M,..
한글에서 단축키로 글자 서식 초기화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에서 단축키를 사용해 글자에 적용된 서식을 초기화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서식 적용이 끝났거나, 여러 서식이 적용되어 있는 서식을 초기화할 때 단축키로 서식을 초기화하면 빠르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위의 이미지는 글자 색이나 밑줄 등 여러 서식이 적용되어 있는데요. 서식을 초기화하는 단축키를 사용하면 한 번에 빠르게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글자 서식을 초기화할 곳에 커서를 놓거나, 초기화할 영역을 블록으로 지정해준 후에 서식을 초기화하는 단축키인 Alt + Shift + C를 사용해줍니다. 단축키를 사용하면 글자에 적용되어 있던 서식이 초기화됩니다. 글자 서식 초기화 Alt + Shift + C
한글에서 빨간 밑줄, 맞춤법 검사 해제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에서 빨간 밑줄, 맞춤법 검사를 해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맞춤법 검사가 적용되면 오타를 잡아줘 편하기도 하지만, 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단어는 오타가 아니라도 맞춤법 검사가 적용되어 빨간 밑줄이 생겨 신경이 쓰이게 됩니다. 맞춤법 검사를 해제하는 방법과 사용자 사전에 단어를 등록해 빨간 밑줄을 지우는 방법 2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맞춤법 검사를 아예 해제하는 방법입니다. 도구 - 맞춤법을 클릭해준 후 맞춤법 도우미 동작을 선택해줍니다. 맞춤법 도우미가 동작되고 있을 때는 해제되고, 맞춤법 도우미가 해제되어 있을 때는 동작됩니다. 맞춤법 검사를 끄는 또 다른 방법은 환경 설정을 클릭해줍니다. 환경 설정에서 편집의 맞춤법 도우미 작동 체크 표시를 해제해주면 맞춤법 검사가 적..

반응형